- 시메트릭스 엔지뉴이티 [Symmetrix Enginuity]

EMC 시메트릭스의 운영체제

 

- 시메트릭스 원격 데이터 퍼실러티 [SRDF, Symmetrix Remote Data Facility]

EMC 시메트릭스가 지원하는 스토리지 어레이 기반 원격 복제 소프트웨어 제품

 

- 시스템 버스 [system bus]

프로세서와 메모리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스

 

- 시퀀스 [sequence]

한 포트에서 다른 포트로 전송된 프레임의 연속적인 집합

 

- 시큐어 셸 [SSH, Secure Shell]

두 컴퓨터 간의 안전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 시큐어 소켓 레이어 [SSL, Secure Sockets Layer]

공개 키 암호화를 사용해 인터넷을 통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안전한 통신을 제공하는 암호화 프로토콜

 

- 신뢰성 [reliability]

특정 기간에 주어진 조건하에서 시스템이 정상적인 비즈니스 운영을 지속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 신뢰 컴퓨팅 베이스 [TCB, Trusted Computing Base]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환경의 모든 컴포넌트

 

- 실린더 [cylinder]

디스크 드라이브의 플래터에 있는 동심의 속이 빈 원통의 슬라이스 집합

 

- 심층 방어 [defecse in depth]

모든 액세스 경로의 액세스 포인트에 보안 제어 기법을 구현한다.

 

- 쓰기 분할 [write splitting]

쓰기를 하나는 소스, 다른 하나는 저널에 리다이렉트하는 과정

 

- 쓰기 우회 크기 [write aside size]

I/O 요청이 지정된 크기를 넘으면 캐시에 기록하지 않고 직접 디스크에 기록한다. 이는 많은 쓰기를 실행할 때 캐시를 많이 사용하지 않게 한다.

 

- 쓰기 페널티 [write penalty]

모든 쓰기 연산에 부가적인 I/O가 추가되는 미러 및 패리티 RAID 설정에서의 I/O 오버헤드

 

- 쓰기 캐시 [write cache]

쓰기 연산을 영속적인 저장을 위해 디스크에 기록하기 전에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캐시의 일부분

 

- 씬 프로비저닝 [thin provisioning]

전체 용량을 마스킹하며 요청한 용량의 LUN의 제공한다.

 

- 아웃오브밴드 [out-of-band]

가상 환경 설정이 데이터 경로 외부에 존재하는 구현

 

- 아웃오브싱크 [out-of-sync]

타깃 데이터가 일관적이지 않으며 전체 동기화가 필요한 상태

 

- 아이노드 [inode]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의 정보를 갖고 있는 자료 구조

 

- 아카이브 [archive]

장기간 동안 고정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소

 

- 암호 기법 [cryptography]

보안을 위해 정보를 숨기는 기술

 

- 암호화 [encryption]

알고리즘(사이퍼라고 함)을 사용해 정보를 비인증 된 사용자가 읽을 수 없도록 변경하는 과정

 

-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컴퓨팅 작업의 논리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application virtualization]

애플리케이션을 이식 가능하도록 패키징하는 기법

 

-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face]

애플리케이션 간 통신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운영체제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함수의 집합

 

- 액세스 제어 [Access control]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규제하는 서비스

 

- 액세스 제어 목록 [ACL, Access Control List]

어떤 사용자가 어떤 리소스에 무슨 권한으로 접근할 수 있는지 지정한 권한 목록

 

- 액티브 디렉토리 [AD, Active Directory]

중앙 집중형 인증과 권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제품

 

- 액티브/액티브 [active/active]

모든 컴포넌트가 액티브이고 한 컴포넌트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다른 컴포넌트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고가용성을 위한 아키텍처

 

- 어레이/디스크 어레이/스토리지 어레이 [array/disk array/storage array]

1개의 유닛으로 동작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그룹

 

- 엔드 투 엔드 크레딧 [EE-Credit, End-to-End Credit]

버퍼를 사용해 클래스 1과 클래스 2 트래픽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메커니즘

 

- 역할 기반 접근 제어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만 시스템 액세스를 허용하는 방식

 

- 연결 [concatenation]

여러 디스크의 주소 공간을 논리적으로 연결해 하나의 큰 주소 공간으로 만드는 것

 

- 연속 기입 캐시 [write-through cache]

데이터를 캐시에 저장하고 디스크에 기록한 후에 호스트에게 수신확인을 보낸다.

 

- 연속 재난 [Rolling Disaster]

수 밀리초나 수 분 사이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을 가진 재난들

 

- 연합 [federation]

조직이 워크로드를 옮길 수 있게 하는 다른 장소에 있는 이질적인 여러 데이터 스토어

 

- 연합 데이터베이스 [federated database]

하나의 엔티티로 취급하고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하는 데이터베이스 집합

 

- 오더드 셋 [ordered set]

프레임 구분, 시그널링 같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로우 레벨 파이버 채널(FC-1 레이어)의 기능

 

- 오류 정정 코드 [error-correction coding]

데이터 전송의 수신부에서 에러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인코딩 기법

 

- 오케스트레이션 [orchestration]

시스템의 여러 종류의 리소스를 조율해 작업하는 것

 

- 오프라인 백업 [offline backup]

백업을 하는 동안에는 데이터베이스에 I/O 작업을 할 수 없다.

'IT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용어 정리 -11-  (0) 2022.06.29
IT 용어 정리 -9-  (0) 2022.06.13
IT 용어 정리 -8-  (0) 2022.06.13
IT 용어 정리 -7-  (0) 2022.06.08
IT 용어 정리 -6-  (0) 2022.06.08

 

 

- 선택적인 수신확인 [SACK, Selective Acknowledge]

데이터 수신자가 전송자에게 성공적으로 도착한 세그먼트에 대해 알려 전송자가 실제로 손실된 세그먼트만을 재전송할 수 있게 한다.

 

- 설정 관리 데이터베이스 [CMDB, Configuration Management Database]

정보 시스템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 섹터 [sector]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저장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주소를 지정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

 

- 소스 ID [S_ID, Source ID]

소스 포트의  표준 FC 주소

 

-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 [SCSI,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주변 디바이스를 컴퓨터에 연결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플래시 드라이브 [solid-state drive(SSD)/Flash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 수동적 공격 [passive attack]

정보를 수정하지 않고 정보에 대한 비권한 액세스를 얻으려는 시도. 수동적 공격은 정보의 기밀성을 위협한다.

 

- 순환 중복 검사 [CRC, cyclic redundancy check]

데이터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 디지털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기술. 체크섬이라 불리는 특정 개수의 체크 비트를 전송하는 메시지에 덧붙인다.

 

- 슈퍼블록 [superblock]

파일의 유형과 생성, 수정 날짜, 파일 시스템의 크기와 레이아웃, 사용 가능한 리소스의 개수,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상태를 알리는 플래그 같은 파일 시스템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 스냅샷 [snapshot]

데이터의 PIT 사본

 

- 스누핑 [snooping]

다른 사용자나 조직의 데이터에 대한 비인증 액세스

 

- 스니퍼 [sniffer]

네트워크 트래픽 패킷을 식별하는 소프트웨어 툴

 

- 스루풋 [throughput]

설정된 시간 동안 성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양

 

- 스왑 파일 [swap file]

페이지 파일이나 스왑 공간이라고도 하며, 운영 체제에게는 물리적 메모리처럼 보이게 만든 물리적 디스크의 일부

 

- 스위치 패브릭 [switched fabric]

각 디바이스가 통신을 하는 디바이스와의 고유의 전용 I/O 경로를 갖는 파이버 채널 기술

 

- 스위치 [switches]

허브보다 지능적인 디바이스로 하나의 물리적인 포트에서 다른 포트로 데이터를 라우팅한다.

 

- 스위칭 [switching]

스위치라 불리는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사용해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프로세스

 

- 스케일아웃 [scale out]

수평적으로 스케일링하거나 리소스를 추가해 광범위하고 많은 요청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반대는 스케일업으로, 성능 요구치를 만족시키기 위해 수직적으로 스케일링하는 것이다.

 

- 스텁 파일 [stub file]

8KB 정도의 작은 파일로 원본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 스토리지 가상화 [storage virtualization]

애플리케이션이나 컴퓨트 서버, 일반 네트워크 리소스로부터 스토리지 시스템을 추상화해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독립적으로 스토리지와 데이터를 관리한다.

 

- 스토리지 관리 이니셔티브 [SMI, Storage Management Initiative]

이기종 스토리지 벤더 시스템 간의 광범위한 상호 운영성을 가능하게 하는 스토리지 표준

 

- 스토리지 네트워크 [storage network]

컴퓨터 시스템과 스토리지 그리고 스토리지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 스토리지 네트워킹 산업 연합 [SNIA, Storage Networking Industry Association]

표준과 기술교육 서비스를 개발하고 촉진해 조직의 정보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영리 조직

 

- 스토리지 노드 [Storage Node(백업/복구Backup/Recovery)]

1개 이상의 백업 디바이스(테이프 드라이브나 테이프 라이브러리, 디스크 디바이스 백업)를 제어하고 백업 클라이언트로부터 백업 데이터를 받는 백업 패키지의 일부

 

- 스토리지 리소스 관리 (SRM, Storage Resource Management)

스토리지 요소와 스토리지 디바이스, 어플라이언스, 가상 디바이스, 디스크 볼륨, 파일 리소스를 포함한 스토리지 리소스(물리적, 논리적)의 관리

 

- 스토리지 어레이 기반 원격 복제 [storage array-based remote replication]

스토리지 어레이에서 시작하고 종료하는 복제

 

-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SAN, storage area network]

공유 스토리지 디바이스와 서버의 고속 전용 네트워크

 

- 스토리지 컨트롤러 [storage controller]

스토리지 요청을 처리하고 스토리지 디바이스에게 지시하는 디바이스

 

- 스토어 [store]

에이전트로부터 데이터를 받고 처리하고 저장소를 업데이트한다.

 

- 스트라이프 [stripe]

RAID 집합 안의 모든 디스크에 퍼진 같은 위치의 스트립 집합

 

- 스트라이프 너비 [stripe width]

RAID 어레이의 디스크 드라이브 개수와 같다.

 

- 스트라이핑 [striping]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 드라이브에 분할하고 분산한다.

 

- 스트립 [strip]

RAID 집합의 각 디스크에 있는 연속적인 주소를 갖는 블록 그룹

 

- 스푸핑 [spoofing]

사람이나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조작해 다른 사람으로 가장해 불법적인 이득을 취하는 것

 

- 스핀들 [spindle]

모든 플래터를 연결하고 모터와 연결돼 있는 하드 디스크 어셈블리의 일부분

'IT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용어 정리 -11-  (0) 2022.06.29
IT 용어 정리 -10-  (0) 2022.06.13
IT 용어 정리 -8-  (0) 2022.06.13
IT 용어 정리 -7-  (0) 2022.06.08
IT 용어 정리 -6-  (0) 2022.06.08

 

 

- 비트 [bit]

두 가지 구별되는 상태 중 하나만을 갖는 컴퓨팅 정보의 기본 단위. 비트의 단위 심볼은 소문자 b이다.

 

-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 [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플래시 메모리 같은 구현 기술을 사용해 전력 공급이 끊겨도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 빅데이터 [big data]

기존의 툴을 사용해 처리하기 어려울 정도로 큰 데이터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UDP, User Datagram Protocol]

IP에서 사용하는 무연결 전송레이어 프로토콜

 

- 사용자 아이디 [UID, user identifier]

유닉스 환경의 각 사용자는 고유 UID로 식별된다.

 

- 사이퍼 [cipher]

일반 텍스트의 유닛을 임의의 심볼로 표현하는 기법

 

-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 [ULP, Upper Layer Protocol]

캡슐화를 수행할 때 좀 더 추상적인 프로토콜을 말한다.

 

- 상태 변경 알림 [SCN, State Change Notification]

디바이스를 디스커버리 도메인에 추가하거나 제거할 때 iSNS 서버에 알림 메시지를 보낸다.

 

- 서버 기반 가상화 [server-based virtualization]

물리적 하드웨어를 운영체제로부터 추상화하거나 마스킹하는 기술. 하나 또는 클러스터 물리 머신에서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 서버 메시지 블록 [SMB, Server Message Block]

윈도우 클라이언트가 윈도우 서버에 파일 액세스 요청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액세스 프로토콜

 

- 서버/호스트/컴퓨트 가상화 [server/host/compute virtualization]

하나 또는 여러 물리적 서버의 그룹에 만들어진 가상 머신에서 다수의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한다.

 

- 서비스 거부 공격 [DoS(Denial-of-Service) attack]

정상 사용자가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을 거부하게 만드는 공격

 

- 서비스 레벨 협정 [SLA, service-level agreement]

서비스의 공급자와 소비자 사이의 협정

 

- 서비스 위치 프로토콜 [SLP, service location protocol(또는 srvloc)]

컴퓨터와 기타 디바이스가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 아무런 사전 설정 없이 서비스를 찾을 수 있도록 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SOA,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아키텍처

 

- 서비스 집합 아이디 [SSID, Service Set Identifier]

모바일 디바이스가 BSS에 연결할 때 비밀번호처럼 사용하는 WAN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의 헤더에 있는 32개의 문자로 구성된 고유 식별자

 

- 서비스 카탈로그 [service catalog]

카탈로그로 서비스와 컴포넌트 서비스와 가격에 대한 속성목록을 갖고 있다.

 

- 서비스 클래스 [CoS, Class of Service]

네트워크 서비스의 품질을 구별하는 FC 표준으로, 각 유형을 서비스 우선순위를 가진 클래스로 다룬다.

 

- 서비스 품질 [QoS, Quality of Service]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성능 측정 방법

 

-서비스로서의 IT [IT-as-a-Service]

정보 기술 인프라스트럭쳐를 확장성 있는 온디맨드 서비스로 제공하는 엔드 투 엔드 서비스

 

- 서비스로서의 데스크탑 [Daas, Desktop-as-a-Service]

가상 데스크탑 인프라스트럭처(VDI, virtual desktop virtualization)를 서드파티 서비스 공급자에게 아웃소싱한다. 보통 DaaS는 멀티테넌시 아키텍처를 가지며, 구독 기반으로 서비스를 구매한다. 이런 딜리버리 모델에서는 서비스 공급자가 데이터 스토리지와 백업, 보안, 업그레이드 같은 백엔드 작업을 관리한다. 고객의 개인 데이터를 로그온/로그오프 동안 가상 데스크탑에 복사하거나 읽어오며, 디바이스와 위치, 네트워크와 무관하게 데스크탑에 액세스할 수 있다.

 

-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Software-as-a-Service]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에서 실행되는 공급자의 애플리케이션을 고객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웹 브라우저 같은 씬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예: 웹 기반 이메일)를 통해 여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액세스할 수 있다. 고객은 네트워크나 서버, 운영체제, 스토리지뿐만 아니라 제한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제외하고는 개별 애플리케이션 같은 기저의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를 관리하거나 제어하지 않는다.

 

- 서비스로서의 인프라스트럭처 [Infrastructure-as-a-Service]

고객이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를 배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싱과 스토리지, 네트워크, 기타 기본 컴퓨팅 리소스를 공급하는 것. 고객은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를 관리하거나 제어하지는 않지만 운영체제와 스토리지,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일부 네트워킹 컴포넌트(예: 방화벽)도 제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 서비스로서의 플랫폼 [Platform-as-a-Service]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에서 실행하는 공급자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와 같은 씬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여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액세스할 수 있다(예: 웹 기반 이메일). 소비자는 사용자에게 특화된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제외하는 네트워크나 서버, 운영체제, 스토리지뿐만 아니라 개별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까지도 관리하거나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IT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용어 정리 -10-  (0) 2022.06.13
IT 용어 정리 -9-  (0) 2022.06.13
IT 용어 정리 -7-  (0) 2022.06.08
IT 용어 정리 -6-  (0) 2022.06.08
IT 용어 정리 -5-  (0) 2022.06.08

 

 

- 바이트 [byte]

8자리 이진수로 구성된 정보 단위. 바이트의 단위 심볼은 대문자 B이다.

 

- 반송파 감지 다중 액세스/충돌 탐지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2개의 디바이스가 1개의 데이터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려고 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규칙의 집합

 

- 방화벽 [firewall]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시해 규칙에 따라 통과를 거부하거나 허용하는 전용 기기나 소프트웨어

 

- 배터리 백업 유닛 [BBU, Battery Backup Unit]

전력 중단 시 보조 소스로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로 동작하는 전원 공급 장치

 

- 백업 [backup]

운영 데이터의 사본

 

- 백업 서버 [backup server]

백업을 관리하고 백업 카탈로그를 관리하는 서버

 

- 백업 윈도 [backup window]

소스에서 백업 프로시저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

 

- 백업 카탈로그 [backup catalog]

백업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와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 백업 클라이언트 [backup client]

운영 호스트에서 데이터를 추출해 백업 스토리지 노드에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 버스 [bus]

컴퓨터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의 모음

 

- 버퍼 [buffer]

보통 RAM 안에 있는 임시 저장 영역

 

- 범용 직렬 버스 [USB, Universal Serial Bus]

주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 벙커 사이트 [bunker site]

두 사이트 복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캐스케이드/멀티홉쓰리 사이트 복제에서 사용하는 운영과 원격 사이트 사이에 있는 중간 사이트

 

- 베어 메탈 복구 [BMR, bare-metal recovery]

전체 시스템 복구를 위해 모든 메타데이터와 시스템 정보,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백업하는 것

 

- 베어 메탈 하이퍼바이저 [bare metal hypervisor]

별도의 호스트 OS 없이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는 가상화 플랫폼

 

- 변조 공격 [modification attack]

악의적인 목적으로 정보를 수정하는 비인증 된 시도

 

- 보존 기간 [retention period]

비즈니스가 데이터 백업 사본을 보존해야 하는 기간

 

- 복구 목표 시간 [RTO, recovery-time objective]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 기능의 복구를 완료해야 하는 시간. 이것은 비즈니스가 견디고 생존할 수 있는 다운타임의 양을 정의한다.

 

- 복구 목표 지점 [RPO, recovery-point objective]

중단 후 시스템과 데이터가 반드시 복구돼야 하는 지점. 이것은 비즈니스가 견딜 수 있는 데이터 손실의 양을 정의한다.

 

- 복원 [restore]

데이터를 원래의 상태 또는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돌린다.

 

- 볼륨 그룹 [VG, volume group]

논리적 볼륨(파티션)을 만들 수 있는 물리적 볼륨(디스크)의 그룹

 

- 부인 공격 [repudiation attack]

작성한 것을 거부하거나 혼란스럽게 하는 공격

 

- 부인 방지 [nonrepudiation]

어떤 행동을 했음을 후에 부인할 수 없게 하는 것. 통신에서는 부인 방지를 위해 배달 증명을 제공한다.

 

- 분산 관리 태스크 포스 [DMTF, Distributed Management Task Force]

컴퓨터 시스템과 기업 환경을 위한 관리 표준을 개발하는 조직

 

- 분산 컴퓨팅 [distributed computing]

계산 문제나 정보 처리에서 자신의 역할을 가진 원격에 위치한 다수의 컴퓨터를 사용한 컴퓨팅

 

- 분산 파일 시스템 [DFS, distributed file system]

여러 컴퓨터 노드에 분산된 파일 시스템

 

- 브로드 네트워크 액세스 [broad network access]

이기종 씬(thin) 또는 씩(thick) 클라이언트 플랫폼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할 수 있고 표준 메커니즘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다.

 

-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모든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

 

- 브리지 토폴로지 [bridged topology]

FC와 IP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토폴로지

 

- 블록 [block]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연속적인 고정 크기 공간의 단위

 

- 블록 레벨 가상화 [block-level virtualization]

호스트와 스토리지 어레이 사이에 존재하는 SAN의 물리적 레이어

 

- 블록 크기 [block size]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단위

 

- 비동기식 복제 [asynchronous replication]

쓰기 완료를 소스 호스트에게 즉시 알린다. 이 쓰기는 같은 순서로 로그에 기록되고 전송되며 소스에 업데이트된다.

 

- 비무장 지대 [DMZ, demilitarized zone]

조직의 개인 네트워크와 외부 공용 네트워크 사이의 버퍼로 사용하는 호스트나 네트워크

 

- 비밀번호 [password]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밀 인증 데이터의 한 형태

 

- 비보호 복구 [nonprotected restore]

복구 작업이 끝나고 소스에 대한 모든 쓰기가 타깃에 미러링 된 후 타깃이 소스에 연결된 채로 남아 있는 복구 프로세스

 

- 비정형 데이터 [unstructured data]

선천적인 구조를 갖지 않는 데이터로 각기 다른 종류의 파일로 저장된다.

 

- 비즈니스 영속성 [BC, business continuity]

비즈니스 운영에 악영향을 끼치는 중단을 대비하고, 대응하며 복구하는 것

'IT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용어 정리 -9-  (0) 2022.06.13
IT 용어 정리 -8-  (0) 2022.06.13
IT 용어 정리 -6-  (0) 2022.06.08
IT 용어 정리 -5-  (0) 2022.06.08
IT 용어 정리 -4-  (0) 2022.06.07

 

 

- 로 파티션 [raw partition]

볼륨 매니저가 관리하지 않는 디스크 파티션

 

- 로그 전송 [log shipping]

소스에서의 모든 활동을 '로그' 파일에 기록해 원격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적용하는 호스트 기반 복제 기법

 

-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최적의 리소스 활용도를 위해 워크로드를 여러 컴퓨터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링크, CPU, 하드 드라이브 및 기타 리소스에 균등히 분배하는 기법

 

- 로봇 팔 [robotic arms]

테이프를 슬롯에서 드라이브로 옮기는 데 사용하는 테이프 라이브러리의 컴포넌트

 

- 로우 워터마크 [low watermark]

스토리지 시스템이 강제 플러시를 중단하고 유휴 플러시로 돌아오는 지점

 

- 로컬 버스(local bus) 또는 I/O 버스 (I/O bus)

데이터 전송을 위해 CPU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고속의 패스웨이

 

- 로컬 복제 [local replication]

같은 스토리지 볼륨(어레이 기반 로컬 복제의 경우) 안에서 또는 같은 데이터 센터(호스트 기반 로컬 복제의 경우) 안에서 운영 볼륨의 사본을 만드는 과정

 

- 롤백 [roll back]

세컨더리 리플리카를 이전의 PIT 사본으로 되돌리는 것

 

- 리소스 풀링 [resource pooling]

공급자의 컴퓨팅 리소스를 풀로 만들어 멀티테넌트 모델을 사용해 여러 고객에게 제공한다. 이 리소스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적으로 할당되거나 재 할당되는 다양한 가상 및 물리적 리소스다. 고객은 공급된 리소스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 알지 못하고 제어할 수 없지만 높은 추상화 수준으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예: 국가, 주, 데이터 센터). 리소스의 예로는 스토리지와 프로세싱, 메모리, 네트워크 대역폭, 가상 머신이 있다.

 

- 리플리카 [replica]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이미지/사본

 

- 링크 애그리게이션 [link aggregation]

네트워크 고가용성 설정을 위한 기술. 한 스위치로의 여러 액티브 이더넷 연결을 하나의 링크로 보이게 한다.

 

- 링크 애그리게이션 제어 프로토콜 [LACP, 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고가용성을 위해 2개 이상의 물리적 데이터 채널을 하나의 논리 데이터 채널로 묶는 IEEE 표준

 

- 마운팅 [mounting]

마운트 지점을 만들어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테이프 카트리지를 테이프 드라이브에 넣는 과정도 마운팅이라고 한다.

 

- 멀웨어 [malware]

기밀성과 무결성, 가용성을 훼손하기 위해 만들어진 악성 소프트웨어

 

- 멀티캐스트 [multicast]

프레임을 여러 목적 포트에 동시에 보낸다.

 

- 멀티테넌시 [multi-tenancy]

한 인프라스트럭처에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공존한다.

 

- 멀티플렉싱 [multiplexing]

하나의 통신 라인이나 채널을 통해 여러 시그널을 전송한다.

 

- 메모리 가상화 [memory virtualization]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용 가능한 물리적인 메모리와는 독립적으로 자신의 연속적인 논리적 메모리를 갖고 있는 것처럼 하는 기술

 

- 메일 또는 임포트/익스포트 슬롯 [mail or import/export slot]

테이프 라이브러리에 들어가지 않고 테이프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슬롯

 

- 메타LUN [metaLUN]

여러 논리적 유닛을 합쳐 확장한 논리적 단위

 

- 메타데이터 [meta data]

데이터의 컨텐츠, 질, 상태 같은 데이터의 특성을 기술하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 명령어 큐 [command queuing]

수신된 명령어를 최적의 순서로 실행하는 알고리즘

 

- 명령행 인터페이스 [CLI, command-line interface]

명령 프롬프트 윈도에서 한 번에 한 라인씩 명령을 받아들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 모니터링 [monitoring]

전체 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리뷰하는 과정

 

- 무결성 체크 [integrity checking]

파일의 컨텐츠가 디지털 서명(해시 결과 또는 CA)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무서버 백업 [serverless backup]

서버가 아닌 디바이스를 사용해 데이터를 백업 디바이스에 복사하는 백업 기법

 

- 무손실 이더넷 네트워크 [lossless Ethernet network]

풀 듀플렉스 링크와 무손실 이더넷 MAC, 무손실 이더넷 브리징으로 구성된 이더넷 네트워크

 

- 미국 표준 협회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국의 제품과 서비스, 프로세스, 시스템에 대한 자발적 합의 표준(voluntary consensus standards)의 개발과 사용을 중재하는 비영리 기관

 

-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Media Access Control]

공용 미디어 네트워크에서 물리적 미디어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미러링 [mirroring]

하나의 디스크 실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두 디스크 드라이브에 데이터를 동시에 기록하는 데이터 중복 기술

 

- 미터링 [metering]

리소스 공급과 비용 청구를 위한 클라우드 사용량의 모니터링

 

- 바이러스 [virus]

사용자의 허가 없이 컴퓨터를 감염시킬 수 있는 악성 컴퓨터 프로그램

'IT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용어 정리 -8-  (0) 2022.06.13
IT 용어 정리 -7-  (0) 2022.06.08
IT 용어 정리 -5-  (0) 2022.06.08
IT 용어 정리 -4-  (0) 2022.06.07
IT 용어 정리 -3-  (0) 2022.06.07

 

 

- 데이터 일관성 [data consistency]

관련된 데이터 컴포넌트의 사용성과 유효성, 무결성

 

- 데이터 전송 속도 [data transfer rate]

드라이브가 컨트롤러에게 1초 동안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 데이터 조작 [data tampering]

고의적인 데이터 변경

 

- 델타 집합 [delta set]

비동기식 복제의 구현에서는 타깃에 할당된 자연된 쓰기를 임시로 버퍼에 저장하기 위해 큰 스토리지 캐시를 사용한다.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는 소스와 타깃 쓰기의 차이, 델타 집합을 표현한다.

 

- 도메인 ID [domain ID]

패브릭의 각 스위치(도메인)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Domain Name System]

인간이 읽을 수 있는 호스트네임을 IP 주소로 변경한다.

 

- 도시권 통신만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20킬로미터 미만의 지리적 영역에 퍼진 큰 컴퓨터 네트워크

 

- 독립 디스크의 중복 어레이 [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디스크 드라이브 어레이에 여러 독립적인 디스크 드라이브의 집합을 사용해 하나의 큰 고비용 드라이브를 사용했을 때보다 좋은 성능을 얻는다.

 

- 동기식 광학 네트워크 [SONET, synchronous optical network]

여러 가입자로의 트래픽이 멀티플렉스 되어 광학 시그널로 링에 전송되는 광학 통신 표준

 

- 동기식 디지털 계층 구조 [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국제 전기 통신 연합에서 개발한 표준으로 표준 G.707과 이것의 확장인 G.708로 문서화돼 있다.

 

-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IP 주소를 호스트에 동적으로 할당하는 기법

 

- 되감기 시간 [rewind time]

테이프를 시작 지점으로 되돌리는 데 걸리는 시간

 

- 등록 상태 변경 알림 [RSCN, Registered State Change Notification]

한 노드의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를 패브릭 안의 모든 노드에 전파하는 데 사용한다.

 

- 디렉터 [director(스위치 switch)]

엔터프라이즈 급 연결 요구사항을 위해 많은 포트와 중복 컴포넌트를 가진 인터커넥션 디바이스 클래스

 

- 디렉토리 [directory]

여러 파일에 대한 포인터를 가진 파일 시스템의 컨테이너

 

- 디렉토리 서비스 [DS, directory service]

컴퓨터 네트워크 사용자와 네트워크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조직화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애플리케이션 집합. 네트워크 관리자가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의 액세스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 디렉토리 시스템 에이전트 [DSA, Directory System Agent]

여러 LDAP 서버에 분산될 수 있는 LDAP 디렉토리. 각 DSA는 주기적으로 동기화되는 전체 디렉토리에 대한 복제 버전을 갖는다.

 

- 디바이스 드라이버 [device driver]

운영체제와 컴퓨터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전용 소프트웨어

 

- 디스커버리 도메인 [discovery domain]

IP-SAN에서 디바이스의 기능적인 그룹화를 제공한다. 디바이스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같은 디스커버리 도메인으로 설정돼야 한다.

- 디스크 드라이브 [disk drive]

자기 표면을 가진 고속으로 회전하는 플래터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스토리지 디바이스

 

- 디스크 묶음 [JBOD, just a bunch of disks]

제어 소프트웨어의 코디네이션이 없는 디스크 묶음

 

- 디스크 백업 [back up to disk]

디스크를 사용해 백업 데이터를 저장한다.

 

- 디스크 버퍼 복제 [disk-buffered replication]

로컬 복제와 원격 복제의 조합. 로컬 PIT 리플리카를 먼저 만들고 로컬 PIT 리플리카에 대한 원격 리플리카를 만든다.

 

- 디스크 이미지 백업 [disk image backup]

디스크의 사용 가능한 스토리지 영역을 구성하는 각 블록에 대한 사본으로 구성된 백업

 

- 디스크 파티셔닝 [disk partitioning]

하드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함

 

- 디피-헬먼 챌린지 핸드셰이크 인증 프로토콜 [DH-CHAP, Diffie-Hellman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파이버 채널 개시자와 응답자 간의 인증을 위한 보안 키 교환 인증 프로토콜

 

- 라우터 [routher]

각기 다른 네트워크 간에 정보를 라우팅하는 인터네트워킹 디바이스

 

- 라운드로빈 [round-robin]

I/O 요청을 사용 가능한 경로 중에서 돌아가며 할당한다.

 

- 라운드트립 지연 [RTD, round-trip delay]

데이터를 전송하고 원격 사이트에서 수신확인을 받는 데까지의 지연

 

- 랜덤 I/O [random I/O]

스토리지 시스템의 인접한 데이터 위치를 액세스하지 않는 연속적인 I/O 요청

 

-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random access memory]

어떠한 메모리 위치에도 직접적인 액세스를 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 랜딩 구역 [landing zone]

하드 디스크의 R/W 헤드가 플래터에서 쉴 수 있는 스핀들 근처의 영역

 

- 레벨 1 캐시 [level 1(L1) cache]

CPU와 연관된 부가적인 캐시. 곧 CPU가 필요로 할 것 같은 데이터와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을 저장한다.

 

- 로 용량 [raw capacity]

스토리지 시스템의 디바이스에서 주소를 지정할 수 있는 총 용량

'IT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용어 정리 -7-  (0) 2022.06.08
IT 용어 정리 -6-  (0) 2022.06.08
IT 용어 정리 -4-  (0) 2022.06.07
IT 용어 정리 -3-  (0) 2022.06.07
IT 용어 정리 -2-  (0) 2022.06.07

 

 

- 64b/66b 인코딩 [64b/66b encoding]
64비트 데이터를 66비트 전송 문자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 8b/10b 인코딩 [8b/10b encoding]
8비트 데이터를 10비트 전송 문자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 BB_크레딧 [BB_Credit]
주어진 시점에 링크에 존재할 수 있는 프레임의 최대 개수

- BC 계획 [BCP, BC Planning]
비즈니스 기능에 문제가 생겼을 때 운영을 계속하기 위한 방법

- C-H-S 주소 [ C-H-S addressing]
디스크 상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실린더와 헤드, 섹터 CHS 숫자로 구성된 물리적 주소

- FCoE 포워더 [FCF, FCoE Forwarder]
FC 포트로 수신한 FC 프레임을 캡슐화해 FCoE 프레임으로 만들고, 이더넷 브리지에서 수신한 FCoE 프레임을 FC 프레임으로 디캡슐화하는 파이버 채널 스위치 엘리먼트

- I/O 버스트 [I/O burst]
매우 짧은 시간에 매우 많은 쓰기가 발생하는 것

- I/O 컨트롤러 [I/O controller]
I/O 요청을 한 번에 하나씩 처리하는 컴포넌트

- IP 스토리지 [IP Storage]
TCP/IP 네트워크를 통한 스토리지 네트워킹

- k28.5
파이버 채널 명령의 시작을 알리는 특수한 10비트 문자

- LAN 기반 백업 [LAN-based backup]
백업할 데이터를 LAN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스토리지 노드로 전송한다.

- LUN 마스킹 [LUN masking]
지정된 호스트만 LUN을 볼 수 있게 데이터 접근 제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 LUN 바인딩 [LUN binding]
RAID 집합에 LUN을 만드는 과정

- MD5
128비트 다이제스트를 만드는 메시지 다이제스트 알고리즘

 

- N_Port_ID 가상화 [NPIV, N_Port_ID virtualization]

다중 N_port ID가 하나의 물리 N_port를 공유하게 하는 파이버 채널 설정

 

- P2V [physical to virtual]

물리적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가상 VM을 이용해 가상화 함

 

- PIT 사본 [point-in-time(PIT) copy]

주어진 시점에 보이는 일관적인 데이터 이미지에 대한 사본

 

- RAID 컨트롤러 [RAID cntroller]

RAID 계산을 수행하고 디스크 볼륨을 호스트에게 제공하는 전문 하드웨어

 

-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요청한 컨텐츠를 기술하고 포함한 확장 가능 마크업 언어 XML을 가진 웹 페이지를 읽어 웹사이트의 정보를 얻는 방법

 

- SAN 기반 백업 [SAN-based backup]

SAN을 통해 데이터를 백업하는 기법

 

- SCSI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SAL, SCSI Application Layer]

SCSI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사용해 SCSI I/O 연산을 시작하고 처리하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SCSI 통신 모델의 최상단 레이어

 

- SCSI 전송 프로토콜 레이어 [STPL, SCSI Transport Protocol Layer]

개시자와 타깃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와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 SendTargetDiscovery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해 개시자가 내리는 명령. 타깃은 호스트에 사용 가능한 타깃의 이름과 주소로 응답한다.

 

- SEQ_ID FC-2

레이어에 정의된 특정 순서와 익스체인지의 컴포넌트로서의 프레임 식별자

 

- TCP 오프로드 엔진 [TOE, TCP Offload Engine]

TCP/IP 프로세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 넘겨 TCP/IP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

 

- TCP/IP 오프로드 엔진 카드 [TCP/IP Offload Engine(TOE) card]

TOE 카드는 호스트 대신 TCP 관리 기능을 담당한다.

 

- VLAN 태깅 [VLAN tagging]

이더넷 프레임에 마커(태그)를 삽입하는 프로세스. 태그는 VLAN ID를 갖는다.

 

- ZIP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압축 및 아카이브 포맷

 

- 가버넌스와 위험관리, 규제 준수 [GRC, Governance, Risk and Compliance]

가버넌스/비즈니스 규제와 관련 위험 평가를 위한 규약과 규제

 

- 가상 E_Port [VE_Port, Virtual E_Port]

ISL을 위한 FCoE 스위치의 가상 확장 포트

 

- 가상 F_Port[VF_Port, Virtual F_Port]

FCoE 스위치에 있는 가상 패브릭 포트

 

- 가상 LAN [VLAN, virtual LAN]

네트워크 사용자의 물리적인 위치와는 무관하게 기능과 프로젝트팀,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된 스위치 네트워크

 

- 가상 데스크탑 인프라스트럭쳐 [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데이터 센터의 서버에 존재하는 가상 머신(가상 데스크탑)에서 데스크탑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데스크탑 가상화 기술. 사용자는 랩탑과 데스크탑, 모바일 디바이스 같은 여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이 데스크탑에 원격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 가상 데이터 센터 [VDC, Virtual Data Center]

물리적 인프라스트럭처와 제공하는 서비스의 가상 표현

 

- 가상 머신 [VM, virtual machine]

물리적인 머신처럼 동작하는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이미지. 네트워크에게는 별도의 물리적 머신으로 보인다. 같은 물리적 머신에서 여러 개의 VM을 실행할 수 있다.

'IT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용어 정리 -6-  (0) 2022.06.08
IT 용어 정리 -5-  (0) 2022.06.08
IT 용어 정리 -4-  (0) 2022.06.07
IT 용어 정리 -3-  (0) 2022.06.07
IT 용어 정리 -2-  (0) 2022.06.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