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을 많이 도입하고 있지만, 클라우드 서비스 고객과 제공자 모두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고객의 해결과제
비즈니스 크리티컬 데이터는 보호와 액세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가 필요하다. 데이터를 사내 프라이빗 클라우드가 아닌 다른 클라우드 모델에 저장하면, 고객은 자신의 민감한 데이터에 대한 절대적인 제어를 잃을 수 있다. 대부분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강화된 데이터 보안을 제공하지만 고객은 비즈니스 크리티컬 데이터에 대한 제어를 클라우드에 넘기는 것을 꺼릴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 위치한 데이터 센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고가용성과 로드 분산을 위해 데이터 센터 사이에 데이터를 옮기거나 복제할 수 있다. 고객은 자신의 데이터가 어떤 국가에 저장됐는지 알지 못한다. 몇몇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고객이 자신의 데이터를 어느 국가에 저장할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프라이버시나 EU 개인 정보 보호 지침이나 U.S. 세이프 하버(Safe Harbor) 프로그램 같은 규제사항의 준수는 고객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채택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이용해 어디서든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가 액세스 포인트와 가깝지 않으면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높은 네트워크 지연으로 인해 애플리케이션의 응답 시간이 늘어나거나 애플리케이션에 타임아웃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레벨 협정을 맺음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또 다른 문제로는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가 고객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OS나 선호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같은 전문적이고 특정한 제품 환경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벤더 락인(lock-in)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를 변경하기 어려운 상황을 말한다. 각기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간에 API의 상호운영성이 없으면 서비스 제공자 간에 데이터를 이동하기가 어려워지고 마이그레이션 비용이 높아진다.
제공자의 해결 과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보통 서비스 레벨 협정(SLA)을 공개해 고객이 서비스의 가용성과 서비스 품질, 다운타임 보상, 법적 규제 등에 대한 내용을 알 수 있게 한다. 또는 고객별로 SLA를 맺을 수 있다. SLA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규정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지 못한 경우의 벌금을 규정한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비스제공자는 필요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를 확보해야 한다. 클라우드 리소스는 분산돼 있고 서비스 요구 수준도 변동하기 때문에, 서비스 클라우드 제공자가 모든 사용자의 최고 요구 수준에 대응하기 위한 리소스를 공급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실제 비용을 계산하는 일은 어렵다.
많은 소프트웨어 벤더 회사는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모델을 갖고 있지 않다. 어떤 벤더는 기존 라이선스 모델보다 높은 가격에 클라우드 라이선스를 제공한다.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는 벤더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에 설치하는 데 문제가 된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의 클라우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전용 API를 제공한다. 그러나 고객은 여러 클라우드에 액세스 할 수 있는 공개 API나 표준 API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간의 협의가 필요하다.
클라우드 채택 고려사항
클라우드를 채택하려는 조직은 항상 다음과 같은 질문에 직면한다. "클라우드가 조직의 환경에 적합할까?" 대부분의 조직은 기존의 IT 투자를 포기하고 모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바로 클라우드로 옮길 수 없다. 대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클라우드로 옮기기 전에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해봐야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개인도 클라우드 채택과 관련한 고려사항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은 클라우드 채택과 관련한 고려사항이다.
- 배치 모델의 선택
클라우드를 채택할 때는 위험성과 편의성을 잘 따져봐야 한다. 이 고려사항은 적합한 클라우드 배치 모델을 선택하는 데도 중요하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개인이나 스타트업 비즈니스에 적합하다. 이들에게는 퍼블릭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비용 절감이 보안이나 가용성 위험보다 더 크다. 중소 비즈니스는 적당한 고객 기반을 갖고 있으며, 고객 데이터나 서비스 레벨에 이상이 발생하면 비즈니스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그들은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온라인 트랜잭션 프로세싱(OLTP,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같은 티어 1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려 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모델이 더 적합하다. 티어 1 애플리케이션은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운영하고, 백업이나 아카이브, 테스트처럼 덜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은 퍼블릭 클라우드에 배치할 수 있다. 대기업은 전 세계적인 고객 기반을 갖추고 있다. 그들은 매우 중요한 고객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엄격한 보안 정책을 적용하며, 자금력이 있으므로 자신의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구축하는 편을 선호한다.
- 애플리케이션 적합성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퍼블릭 클라우드에 맞는 것은 아니다. 이는 클라우드 플랫폼 소프트웨어와 고객 애플리케이션 간에 호환이 되지 않거나 조직이 레거시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옮기려고 계획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전용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은 비즈니스에 핵심적이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사내에서 디자인학 개발, 운영한다. 이들은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보안상의 문제점 때문에 조직은 이 애플리케이션을 퍼블릭 클라우드로 옮기길 꺼려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사내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적합하다. 전용이 아닌 덜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은 퍼블릭 클라우드에 배치하기 적당하다. 애플리케이션의 워크로드가 네트워크 트래픽을 많이 발생시키다면 퍼블릭 클라우드에 설치하는 게 최적이 아닐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이 여타 데이터 센터 리소스나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한다면 성능 문제가 생기 수 있다.
- 자금적인 이점
자금적인 이점을 주의 깊게 분석하면 클라우드를 채택하는 데 명확한 계획을 구상할 수 있다. 클라우드와 비클라우드 환경의 총 소유 비용(TCO,Total Cost of Ownership)과 투자 수익률(ROI, Return on Investment)을 비교해보고 잠재적인 비용상의 이점을 분석해야 한다. TCO와 ROI를 계산할 때 조직과 개인은 자신의 인프라스트럭처를 배치하고 유지하는 비용과 클라우드 채택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인프라스트럭처를 소유하는 비용을 계산할 때는 자본 지출(CAPEX)과 운영 비용(OPEX, operation expenditure)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CAPEX에는 서버와 스토리지, OS,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디바이스, 부동산 등을 구매하는 비용이 포함된다. OPEX에는 전력과 냉방, 인력, 유지, 백업 등의 비용이 포함된다. 이런 지출을 클라우드를 채택할 때 발생하는 비용과 비교해야 한다. 클라우드 채택 비용에는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비용과 규정 준수와 보안을 보장하는 비용, 사용료나 가입비 등이 포함된다.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옮길 경우 사내 클라우드를 구축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CAPEX는 감소한다.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선택
퍼블릭 클라우드에서는 제공자를 선택하는 일이 중요하다. 고객은 제공자가 얼마나 오랫동안 서비스를 잘 제공했는지 알아야 한다. 또한 제공자의 서비스를 중단하는 일이 얼마나 쉬운지도 파악해야 한다. 다른 제공자로 서비스를 옮기는 데 어려움은 없는지도 알아야 한다. 제공자가 보안과 법적, 프라이버시 규약을 어떻게 준수하는지도 파악해야 한다. 또한 제공자가 고객 지원을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도 알아봐야 한다.
- 서비스 레벨 협정(SLA)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함께 대역폭과 업타임 같은 서비스 품질(QoS)에 대해서도 정보를 제공한다. QoS 관련 정보는 SLA의 일부인데, 이는 제공자와 고객 간에 채결한 서비스 계약이다. SLA는 고객과 제공자 간에 기대하는 서비스의 수준이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채택하기 전에 고객은 QoS가 자신의 요구사항에 맞는지 확인해야 한다.
'IT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 -4- (0) | 2022.09.03 |
---|---|
클라우드 컴퓨팅 -3- (0) | 2022.09.03 |
클라우드 컴퓨팅 -2- (0) | 2022.09.03 |
클라우드 컴퓨팅 (0) | 2022.09.03 |
스토리지 프로비저닝 (0) | 2022.09.03 |